사람 마음이 어쩌면 이렇게 변덕스러운지 모르겠다.
바르샤바 날씨가 싫다고 남자친구에게 너네 나라 날씨는 왜 요러냐며 온갖 짜증을 부리던 내가 터키에서는 바르샤바의 날씨가 그리워 남자친구에게 이젠 날씨 얘기 다시는 하지 않겠다고 약속 했다가.... 또 막상 돌아와 흐린 날이 계속 되는 2주를 보내고 나니 다시 쨍쨍한 터키의 하늘이 그리워진다.
아니지....사실 터키 날씨가 좋긴 하지만.... 에페소스에서 통구이 될뻔한 기억 때문인지, 그래도 바르샤바 날씨가 조금 더 낫다.... 하는 생각이 바로 들었다.....
하지만.... 그래도.... 이건 좀 심하지 않나 싶은게 지난 일주일간 내내 긴팔에 가벼운 외투까지 입고 다녔으니 7월 날씨라고 하기엔 너무 춥다!. 비라도 오면 코트 꺼내 입어야 할 것 같은 찬 바람이 몰아친다.
앗 방금 취리히 날씨를 찾아 봤더니 그래도 바르샤바가 나은듯.... 취리히는 17~8도를 맴도는 데 그래도 바르샤바는 24~5도.... 유럽 땅을 밟은지 몇해가 흘렀건만 날씨는 아직도 적응이 잘 안된다.
가끔은 찌는 듯한 한국의 여름이 그립다. 심지어는 장마철의 텁텁한 습기까지 그리울 정도다.
뜨끈한 삼계탕도 먹고 싶고 풋고추 우렁이 가득 들어간 된장 찍어 쌈채소 가득 넣어 커다랗게 한입 베어 물고 싶기도 하고.... 여름 느낌이 물씬 나는 한국의 더위가 그립다.
유럽의 여름은..... 가끔은 여름이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어쩌면 슬슬 한국이 그리워지는지도 모르겠다.
최근에 좋은 한국 사람들을 많이 만나서일까? 처음 나왔을 때는 별 생각 없더니 언제나 무던히 옆에 있어주던 친구들이 그립고.... 나를 한결같이 이해해주던 친구들이 그립고, 나이는 달라도 마음이 잘 맞던 언니들이 그립다.
가까이 있을때는 늘 그런줄 알다가 막상 떨어져 나와 내맘 같지 않는 사람들을 겪다 보니 새삼스럽게 내 친구들이 더 소중하고 고마운 것 같다.
어렸을때는 싸워도 정이 들더니 나이 먹으니 작은 마찰만 생겨도 얼굴 보기가 왜 이렇게 힘든지..... 예전에는 미안해 내가 더 잘할께 한마디면 풀릴일이 왜 이렇게 더 꼬이기만 하는지 모르겠다. 알수 없는 일이다.
누군가가 나보다 삶에 대해 훨씬 잘 알고 있는 누군가가 있다면.... 꼭 묻고 싶다.
왜 내 의견을 얘기 하면 그 의견은 전달 되지도 않고 (듣는 것 같지도 않고....) 타당한지 여부는 검토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은 자기를 무시하는게 아닌가를 먼저 생각하고 나는 어느새 남을 가르치려 드는 버릇 없는 사람이 되는건지 모르겠다.... 이게 비단 한국인의 문제인가 아니면 내가 아직 사회 생활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인가의 여부도 잘 모르겠다.
고심해서 단어 하나까지도 고르고 골라 얘기를 해도 뭔가 벽에다 대고 말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들때가 있다.... 이게 내 접근 방식의 문제라면 오히려 바꿔 볼만한 여지도 있고 의문이 훨씬 쉽게 풀릴 것 같다. 오히려 가끔은 영어로 얘기 하는게 명쾌할 것 같다는 느낌도 들고....
서비스 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존경스럽게 느껴지는 때다.... (특히 한국)
나도 가끔은 내 머리를 열고 들여다보고 싶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조금만 더 성의를 가지고 생각해보면 누구라도 내 생각이 미치는 범위는 얼마든지 도달 할수 있고 또 짐작이 가능하다 즉 별 다른게 없다는 얘기다.
글쎄... 뭐가 다를까.... 다른거 없지. 개개인의 차이라는 보편적인 개념만 이해한다면....
내 삶에는 뭐가 있냐... 왜 즐겁게 사느냐 쪽으로 접근을 한다면 좀 더 다른 방향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볼 가능성은 있는 것 같다.
우선 늘 남의 떡이 커보인다는 진리와도 같은 말을 띄워 드리고 싶고....
생각하는 걸 즐기느냐 즐기지 않느냐의 여부가 있긴 하지만 개인적인 취향과 관계되는 지라 생략, 삶에 치여서 또 지쳐서 생각을 안하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건 본인의 삶에 대한 근본적인 자세와 애정도 문제라고 생각한다. 너무 지쳐서 체념하는 사람도 많이 있지만....자기 인생이라는 자동차를 몰고 가면서 운전대 안잡고 갈수 있나? 뭐 인생 망치는 것도 자신의 선택과 무관하다고 볼수는 없다고 생각하는 1인이기 때문에......
본인이 생각을 멈추지 않고 바른 선택(도덕적인 의미의 바른이 아니고 본인을 위한, 본인에게 맞는...최선의 선택이라고 할수 있음) 을 추구하고 이를 지지할 의지가 확고 하다면 본인의 행복을 남과 비교해 스스로를 깎아 먹지 않는 이상 행복해지지 않을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
의지가 확고하지 않아 중도 포기한 사람들에게는 늘 남의 이야기로 남겠지만.....
아 뭔가 오늘은 굉장히 변명하고 싶고 나라는 인간에 대해서 강력히 변호 하고 싶은 날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